자격증

사회복지사 1급 자격증 합격 리뷰

김한인 2024. 11. 24. 19:42

안녕하세요

1월이 되면 사회복지사1급 시험 일정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제 경험을 녹여, 작년 사회복지사 1급 합격 리뷰 쓰려고 합니다.

 

저는 4년제 사회복지학과 재학, 졸업해서 제가 경험하지 못한 학점은행제, 2년제 사회복지사 2급 취득 후 1급 취득

방법에 대해서는 경험적으로는 설명할 수는 없습니다.

 

알기로는 학은제, 2년제 사회복지학과 졸업 후 1년 사회복지 관련 경력 쌓으신 후 증빙 서류를 한국사회복사 측에

제출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제가 재학한 4년제 사회복지학과의 경우 많은 부분 학과 사무실 측에서 제출해주었고, 시험 치겠다는 문서만 작성하여 학과 사무실 측에 전달드렸었습니다.

 

시험에 대해

사진을 보시는 것 처럼 저는 턱걸이로 합격했습니다.

사실 가채점 하면서, 지레 겁부터 먹고, 이상하게 채점하고, 점수 냈어서 턱걸이로 합격한지도 몰랐었고, 불합격인지 알고 그냥 공장 가서 일하자 하고 공장 알바를 하고 있었습니다.

시험 전 당시 개인적인 사정으로 심리적으로 불안하기도 했구요. 

 

 

시험과 직접적으로 도움이 될 만한 정보 말씀드리겠습니다.

사회복지사1급 시험은 각 교시 마다의 점수를 40점 이상, 전체 과목 평균 60점 이상 입니다.

 

교시 당으로 불합, 합격 당락이 결정된다고 생각했을 때,

저는 각 과목당 제 강점 과목에 조금 더 집중했고, 그러한 과목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1교시: 인간행동과사회환경

2교시: 실천론, 실천 기술론

3교시: 사회복지행정론

 

사진 보시는 거 처럼, 실천 기술론 제외하면 평균적인 점수를 받았습니다.

사실 시험에서 떨어졌다고 지레 겁부터 먹었던 이유가 실천 기술론에서 기출문제에서는 보지 못했던 문제들이

많이 나왔어서, 많이 틀려서이기도 했습니다.  

 

 

공부방법

가능하면 사회복지 공부에 대한 감이 있으실 때 최대한 빨리 응시하시라는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우선 공부량이 폭 넓습니다. 8과목. 막학기가 되고 어떻게 다 공부하나 싶기도 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이론서 부터 쳐다보지 말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자격증 공부 초창기에 제가 그랬습니다. 

 

대신에 기출을 많이 풀어보시고, 기출 중심으로 이론 공부하시면 좋은데,

이도 너무 맹신하지 않으셨으면 합니다. 이론 시간 많이 걸려 등한시 한다는 심리 이용하여 이전 기출에서 나오지 않은 이론으로 풀 수 있는 문제들이 등장하곤 합니다. 

 

기출 반복으로 기본적 점수 형성한 후에 틀린 문제 중심으로 이론 공부 및 살 채우기.

거의 모든 자격증 공부 방식이 이렇다고 생각합니다.

 

기출에 답이 있으나, 이론을 등한시하면 불합격의 위험이 있을 '수' 있습니다.

'수' 라고 표현한 건 사회복지사 1급 시험이 절대평가이기 때문입니다. 그 확률은 낮으나 여유가 되거나 그래도 불안하시다면, 공부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렇게 말씀 드리는 이유는 1급 문제집들을 보면 보통 이론 요약집을 제공합니다. 

그런데 시험장에서 아무런 지식 없이 요약집 만 가지고 있으면 조금 불안합니다. 

 

과목 시험 후 쉬는 시간이 많은 편입니다. 그 시간에 요약집에 살 채우기 방식으로 줄줄 적어내려 가시면 큰 도움 될 것입니다.

 

 

시험 중

워낙 방대한 양이다 보니, 내 풀이가 맞나 애매합니다. 그냥 세모 치고 다음 문제 푸십시요. 확실은 동그라미,

틀렸다고 확정되는 문제는 엑스. 

 

근데 저는 세모 치고 바꾼 게 좀 많이 틀렸습니다. 

그러니 몇 주, 몇 시간 합격가능? 질문하지 마시고, 그냥 확실하게 맞춘다 생각하고 공부하세요.

저처럼 고생하지 마시고. 

 

반응형